반응형
가. 역학의 개념
- 역학(epidemiology) :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질병 혹은 질병과 관련된 현상에 대해 그 분포와 결정요인을 연구하고 이를 보건분야 정책에 활용하는 의과학의 한 분야
- 기술역학(descriptive epidemiology) : 인구집단에서 질병발생의 빈도와 분포를 대상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시간적 특성, 지역적 특성에 따라 기술하는 역학
- 분석역학(analytic epidemiology) : 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과 연관성의 정도를 탐구하는 역학
- 환경병인론 : 질병발생이 인간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고(주장)
- 장기설(miasma theory, 나쁜공기이론) : 질병의 원인이 개인적 환경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는 믿음
- 역학적 변천 : 19세기 후반 감염성 질환이 줄어들고 만성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으로 등장하게 되는 질병 양상의 변화
- 역학적 삼각형 : 질병이 병인(agent), 숙주요인, 환경의 세 요인이 질병발생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 개념
- 거미줄 모형 : 질병발생에는 직접적인 요인과 간접적인 요인 등 여러 요인들이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작용한다는 개념
- 수레바퀴 모형 : 질병은 핵심적인 숙주요인과 그를 둘러싼 생물학적, 사회적, 물리화학적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고 보는 개념
- 질병발생 스펙트럼 : 질병발생의 전 과정은 일련의 연속적인 사건으로 보는 개념. 즉, 건강한 상태, 감수성기, 무증상기(잠복기), 임상기, 종결기 등 병인에 노출된 후 발병하고 그 질병이 종결될 때까지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나타냄
- 질병의 유행(epidemic) : 질병이 평상시(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정도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
- 펜데믹(pandemic) :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는 것을 말함.
나. 건강과 질병빈도의 측청과 자료수집
- 비(ratio) : 두 항목간의 대비
- 분율(proportion) : 전체를 1로 보고 일부 항목이 차지하는 정도를 나타낸 값
- 율(rate) : 인구집단에서 어떤 사건이 발생하는 정도를 속도의 개념으로 나타낸 값 (분모가 시간)
-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 : 성공할 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n번 시행하였을 때의 성공횟수에 대한 이산확률분포
- 절대위험도(absolute risk) : 인구집단에서 질병, 불구, 사망 등의 규모를 측정하는 것으로 발생률, 유병률, 사망률 등을 의미함 (빈도 측정)
- 상대위험도(relative risk) : 위험요인과 질병과의 연관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두 인구집단의 절대위험도의 비를 의미함 (예. 누적발생률비, 발생밀도비, 오즈비) (연관성 측정)
- 기여위험도(attributable risk) : 위험요인이 인구집단의 질병빈도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위험요인에 노출된 인구집단의 절대위험도과 위험요인에 노출되지 않은 인구집단의 절대위험도의 차이를 의미함. (예. 누적발생률 차이, 발생밀도 차이) (영향력 측정)
- 유병율(prevalence) : 어떤 특정 시점에 전체 인구 중에서 질병을 가지고 있는 분율(비율)
- 누적발생률(cumulative incidence, incidence proportion) : 특정기간 동안에 일정 인구집단에서 새롭게 질병이 발생하는 수의 분율(비율)
- 발생밀도(incidence density, incidence rate, person-time rate) : 어떤 인구집단 내에서 질병의 순간발생률(발생속도)를 측정하는 것
- 발병률 : 질병의 원인 요인에 노출된 사람들 중 그 질병이 발생한 사람의 분율
- 조사망률 : 주어진 기간 동안 평균 인구의 단위 인구당 발생한 사망자 수
- 특수사망률 : 주어진 기간 동안 인구집단에서 성, 연령, 직업 등의 인구 특성별로 구한 사망률
- 치명률 : 특정 질병의 중증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특정질병에 걸린 환자 중 일정기간 동안 사망한 사람의 분율
- 비례사망률 : 전체 사망자 중 특정 원인에 의해 사망한 사람의 분율
- (연령에 대한) 직접표준화 : 비교하고자 하는 집단의 연령별 특수사망률이 계산되어 있고, 각 연령군의 관찰 대상 수가 충분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을 때 사용하는 (연령)표준화 방법
- (연령에 대한) 간접표준화 : 두 군을 비교할 때 연령별 사망자 수, 즉 연령별 특수 사망률을 알 수 없을 때(연령별 특수 사망률을 알더라도 아주 적은 인구 수에서 산출되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
- 표준화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 특정 인구집단에 대해 실제 관찰된 사망자수(O)와 기대사망자 수(E)의 비를 의미함.
- 타당도 : 어떤 현상을 측정할 때 얼마나 참값에 가까운가를 나타내는 지표
- 신뢰도 : 어떤 현상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때 얼마나 큰 변이가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민감도(sensitivity) : 질병 유무 판정 시, 실제로 질병이 있는 경우 정확하게 질병이 있다고 판정할 확률
- 특이도(specificity) : 질병 유무 판정 시, 실제로 질병이 없는 경우 정확하게 질병이 없다고 판정할 확률
- 위양성률 : 질병 유무 판정 시, 실제로 질병이 없음에도 양성으로 잘못 판정할 확률
- 위음성률 : 질병 유무 판정 시, 실제로 질병이 있음에도 음성으로 잘못 판정할 확률
- 양성예측도 : 질병 유무 판정 결과 양성으로 판정되었을 때 실제 그 사람이 질환을 가지고 있을 확률
- 음성예측도 : 질병 유무 판정 결과 음성으로 판정되었을 때 실제 그 사람이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
- ROC 곡선 :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수신자 판단 특성 곡선). 검사한 수치의 민감도와 (1-특이도)로 그려지는 곡선으로 검사의 양성/음성 판정의 기준치를 정하기 위한 것.
다. 역학적 연구방법
- 기술역학 연구 : 사람, 장소, 시간에 따른 질병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얻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
- 사례보고 :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특이한 질병이나 질병의 원인에 관한 인과적 관련성을 기술하는 연구: 사례보고 대상은 1명의 환자임
- 환자군(사례군) 연구 :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특이한 질병이나 질병의 원인에 관한 인과적 관련성을 기술하는 연구: 환자군 연구의 대상은 일련의 환자들(case-series)임
- 생태학적 연구(ecologic study, 상관성 연구) : 인구집단을 연구단위로 하여 지역별 또는 다른 시간대별 비교를 통해 원인 노출의 수준과 질병 수준의 연관성의 탐색하는 연구
- 생태학적 오류(ecologic fallacy) : 집단에서의 결과를 가지고 집단 구성원(개인 수준)의 결과로 말하려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
- 단면조사 연구(cross-sectional study) : 특정한 시점 또는 짧은 기간 내에 대상 인구 각 개인의 유병 유무 또는 질병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의 유무를 조사하는 연구
- 환자-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 : 질병의 원인 혹은 위험요인을 규명함에 있어 결과(질병)를 먼저 관찰한 후 이런 결과를 야기시켰던 가능한 원인 혹은 요인을 탐구하는 연구 (후향적 연구)
- 오즈비(odds ratio) : 두 인구집단에 대해 어떤 사건이 발생할 확률과 발생하지 않을 확률의 비인 오즈(odds)의 비를 산출한 것. 예를 들어, 환자군의 노출에 대한 오즈와 대조군의 노출에 대한 오즈의 비.
- 짝짓기 (matching) : 중요한 변수(잠재적 교란변수)에 대해 환자군-대조군 간 분포를 맞추는 과정
- 코호트 연구 : 질병발생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요인에 대한 노출여부에 따라 연구대상 집단을 구성하고, 그 이후 일정기간 동안 특정질병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연구.
- 후향적 코호트 연구(retrospective cohort study) : 과거 기록에 기반한 코호트 연구로서 과거의 시점을 정하고 사건이 발생하는 시점까지 추적관찰하는 연구
-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 : 코호트 내에서 질병이 발생한 환자를 환자군으로 선정하고, 각 환자들이 질병이 발생할 당시에 질병발생 위험이 있었던 대상자들 중에서 대조군을 선정하여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하는 것
- 패널조사 연구 : 동일한 대상을 장기적으로 추적관찰하여 시간에 따른 패널의 특성변화를 관찰하는 연구설계
- 실험역학 : 연구자가 직접 개입하여 원인이 되는 요인들의 노출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원인과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
- 임상시험 : 연구대상자들을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투약여부를 결정하고 이후 결과변수의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
- 이중 눈가림법 : 연구대상자 본인이 시험군에 배정되었는지, 대조군에 배정되었는지 모르게 하며, 연구자들 역시 연구대상자가 어느 군에 배정되었는지 모르게 하는 방법
- 이중 눈가림법 : 연구대상자 본인이 시험군에 배정되었는지, 대조군에 배정되었는지 모르게 하며, 연구자들 역시 연구대상자가 어느 군에 배정되었는지 모르게 하는 방법
라. 역학연구의 인과성추론
- 확률오차(random error) : 측정 방법이 타당(validity)하다고 하더라도 참값에서 벗어나는 오차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오차를 가리킴
- 계통적 오차(systematic error) : 타당도(validity)가 확보되지 않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참값에서 멀어진 값을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오차를 가리킴
- 통계적 가설검정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 표본에서 산출된 통계량의 출현확률을 근거로 모집단에 대해 논리적인 판단을 하는 과정. 귀무가설 하에서 관측된 값이 얼마나 드문 경우인가를 따져서 귀무가설을 채택 또는 기각하는 과정. 확률오차에 대한 평가 과정으로 볼 수 있음.
- 유의확률(p-value) : 귀무가설이 사실이라고 했을 때, 주어진 표본에서 얻은 값 혹은 더욱 극단적인 값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될 확률.
- 비뚤림(bias, 바이어스) : 학연구에서 발생하는 계통적 오차. 어떤 노출 요인의 질병위험에 대한 효과 평가에서 잘못된 평가를 내리게 하는 연구설계, 수행, 분석과정에서의 모든 오류.
- 선택비뚤림(selection bias) : 특정 대상이 선택적으로 뽑힘에 따라 비교하고자 하는 두 집단의 위험요인 분포가 진정한 상태를 반영해 주지 못하고 왜곡된 상태로 측정되어 야기되는 계통적 오류
- 발견 비뚤림(detection bias) : 건강위험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은 더 자주 진단검사를 받고,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은 대상자들은 진단검사를 자주 받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뚤림
- 벅슨 비뚤림(Berkson’s bias) :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특정 병원에 한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뚤림(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입원률이 다르기 때문)
- 무응답 비뚤림 (non-response bias) : 참여하지 않거나 무응답인 대상자의 특성이 참여자와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뚤림으로 모든 연구형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민감한 질문일 경우에 흔히 발생함
- 추적관찰 탈락 비뚤림 (follow-up loss bias) : 코호트 연구와 같이 연구대상으로 추적하는 연구의 경우 관찰대상으로부터의 소실이나 거부 등이 비교집단 사이에서 서로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뚤림
- 선택적인 생존 비뚤림 (selective survival bias) : 유병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대조군 연구의 경우 중증환자들은 이미 사망하였고, 재원기간이 긴 환자나 생존기간이 긴 경증환자가 환자군으로 선택될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발생하는 비뚤림
- 건강근로자 고용효과 (healthy worker hire effect) : 건강한 사람이 선택적으로 고용됨으로써 위험직업 종사자들의 건강영향이 일반인구와 비교할 때 잘 관찰되지 않는 현상을 가리킴.
- 정보비뚤림 (information bias) : 대상자에 대한 정보의 획득 방법이 부적절할 때 생기며 그 결과 노출 또는 질병에 대한 정보가 일부 틀리게 될 때 생기는 비뚤림
- 측정 비뚤림 (measurement bias) : 잘못된 조사방법으로 인해 요인노출을 잘못 측정할 때 발생하는 비뚤림
- 기억소실 비뚤림 (memory bias) : 기억력에 의존하여 과거 노출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져 발생하는 비뚤림
- 회상 비뚤림 (recall bias) : 특정 질병에 관련된 요인을 기억하는 경우 회상효과로 인해 더 잘 기억해 냄으로써 발생하는 비뚤림
- 확인 비뚤림 (ascertainment bias) : 노출군이나 시험군에 대해 더 자세히 조사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뚤림
- 오분류 비뚤림 (misclassification bias) : 노출군과 비노출군 또는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분류가 잘못됨으로써 발생하는 비뚤림으로 정보비뚤림을 의미함
- 차별적 오분류 (differential misclassification bias) : 비교하려는 두 집단에서 오분류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 비차별적 오분류 (non-differential misclassification bias) : 비교하려는 두 집단에서 오분류 정도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
- 교란비뚤림(confounding bias) : 관찰연구에서 인구집단 내에 존재하는 다른 요인이 위험요인과 질병발생 간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 교란변수(confounding variable, confounder) : 교란비뚤림의 원인이 되는 변수로서, 원인변수와 연관성이 있으며 결과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 중 원인변수와 결과변수의 매개변수(중간변수)는 아닌 것으로 정의됨
- 층화분석 (stratified analysis) : 분석단계에서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란변수에 노출된 대상과 노출되지 않은 대상을 각각 따로 분석하는 방법
- 힐의 인과성 기준(Hill’s criteria) : 힐(Hill)이 제시한 인과성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 시간적 선후관계, 연관성의 강도, 용량-반응 관계, 연관성의 일관성, 생물학적 개연성, 기존 지식과의 일치 정도, 실험적 조작 또는 예방효과의 가능성, 유사성, 연관성의 특이성을 가리킴.
- 상호작용(interaction) : 두 개 이상의 위험요인을 지닌 질병의 발생률이 개별효과의 결과로 기대되는 발생률과 다를 때 어떤 질병발생에 있어 이 두 위험요인은 상호작용이 있다고 하며, 효과변경(effect modification)의 개념과 동일함
- 효과변경인자(effect modifier) : 제3의 변수로 층화분석을 하였을 때 층화분석 전과 후의 결과에 차이가 있고, 각 층에서 두 변수 간 연관성의 크기가 각각 다를 경우, 그 제3의 변수를 효과변경인자라고 함.
마. 질병감시체계와 역학조사
- 질병감시체계(surveillance) : 질병을 예방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질병관련 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며, 그 결과를 활용하는 것
- 전수감시쳬계(mandatory surveillance system) : 모든 의료기관에서 즉각적으로 보고하도록 하는 것
- 표본감시체계 (sentinel surveillance system) : 일정한 기준에 의해 참여하는 의교기관을 표본감시기관으로 지정하여 일정기간 내에 신고하는 것
- 수동 감시체계 : 의료인이 환자를 발견하여 신고하고 보고하는 형태로 간단하고 보고받는 기관의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보고의 완전성 문제가 있을 수 있음.
- 능동감시체계 : 감시체계 운영자가 직접 나서서 사례를 찾는 것으로 수동감시체계의 대표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역학조사와 연계하여 한정된 기간에만 사용하기도 함.
- 환경성질환(environmental disease) : 역학조사 등을 통하여 환경유해인자와 상관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질환으로서 환경보건위원회 심의를 거쳐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질환
- 직업성질환(occupational disease) : 근로자들이 그 직업에 종사함으로서 발생하는 상병으로 업무와 명확한 인관관계가 있는 것
- 집단발병(outbreak, disease cluster) : 어떤 질병이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특정 인구집단에서 예상되는 수준 이상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
- 환경역학조사 : 일상 생활환경의 범주에 속하는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영향을 조사하는 역학조사
- 직업역학조사 : 직업 또는 작업환경의 범주에 속하는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영향을 조사하는 역학조사
반응형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자 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 유전자 정보의 흐름과 복제 (0) | 2025.01.10 |
---|---|
The 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 Exploring the Flow of Genetic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0) | 2025.01.10 |
강방천, [관점] (0) | 2021.10.27 |
모니시 파브라이,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 (원제:단도투자 DHANDHO INVESTMENT) (0) | 2021.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