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노트5

역학(Epidemiology)의 주요 용어와 개념 가. 역학의 개념역학(epidemiology) :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질병 혹은 질병과 관련된 현상에 대해 그 분포와 결정요인을 연구하고 이를 보건분야 정책에 활용하는 의과학의 한 분야기술역학(descriptive epidemiology) : 인구집단에서 질병발생의 빈도와 분포를 대상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시간적 특성, 지역적 특성에 따라 기술하는 역학분석역학(analytic epidemiology) : 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과 연관성의 정도를 탐구하는 역학환경병인론 : 질병발생이 인간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고(주장)장기설(miasma theory, 나쁜공기이론) : 질병의 원인이 개인적 환경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는 믿음역학적 변천 : 19세기 후반 감염성 질환이 줄어들고 만성.. 2025. 4. 19.
분자 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 유전자 정보의 흐름과 복제 분자 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 유전자 정보의 흐름과 복제 1. 서론 분자 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는 유전 정보가 어떻게 저장되고 표현되는지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1958년 프랜시스 크릭(Francis Crick)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 원리는 DNA에서 RNA로, 그리고 RNA에서 단백질로의 정보 흐름을 중심으로 합니다. 이 중심원리는 현대 분자 생물학의 기초를 형성하며,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분자 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고, 그 구성 요소와 예외 사례를 다룰 것입니다. 또한 중심원리가 생명과학 연구에 미친 영향과 다양한 응용 분야를 살펴보며, 앞으로의 연구 .. 2025. 1. 10.
The 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 Exploring the Flow of Genetic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1. IntroductionThe 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 is a fundamental principle that outlines how genetic information is stored and expressed. Initially proposed by Francis Crick in 1958, it emphasizes the flow of information from DNA to RNA and subsequently to proteins. This foundational concept underpins modern molecular biology and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genetic processes within li.. 2025. 1. 10.
강방천, [관점] 이익이 잘 나는 회사는 어떤 회사인가? 이익이 좋으면 주가도 오르는가? 증권사 리포트에 이익이 잘 나올 것이라는 컨센서스를 보고 매수 했더니 다음 달에는 이익이 안좋은 회사라는 리포트가 나온다. 도대체 돈을 잘 버는 회사와 앞으로도 돈을 잘 벌 회사를 어떻게 찾아야 할까. 1. 돈을 잘 버는 회사란? 현재 돈을 잘 버는 회사를 찾아야 한다. 뉴스가 자세히 설명해주지 않아도 그 회사가 돈을 잘 버는 회사라는 것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기 있는 회사라고 돈을 잘 버는 회사는 아니다. 인기가 이익으로 이어지는지 점검을 해야한다. 돈을 잘 버는 회사의 주식은 인기가 있다. 그러나 돈을 버는 정도와 주가가 오르는 것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장기적으로 비례하기는 한다. 어느 정도가 장기적인지는 안.. 2021. 10. 27.
모니시 파브라이,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 (원제:단도투자 DHANDHO INVESTMENT) 절판되었다가 최근 다시 출간된 모니시 파브라이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 처음에는 원제를 그대로 옮겨 '단도 투자'로 발간했으나 새로 찍으면서 제목을 바꾸었다. (아마도 우리에게 '단도'와 같은 발음의 다른 단어가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읽은 지는 오래 되었다. 다른 곳에 적어두었던 후기인데 그 페이지를 삭제하게 되어서 여기 옮겨둔다. 짧은 에피소드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정리한 책이라 읽기가 편하다. 단도 투자는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사람들의 필독서로 꼽힌다. 단순한 투자논리와 절대로 게임에서 질 수 없는 구체적 전략으로 초심자들에게 굉장히 좋은 입문서다. 직설적인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투자에 대한 책이다. 그런데 나는 성공한 투자자로서 파브라이의 능력보다 돈에 대한 그의 가치관을 먼저 조명.. 2021. 10. 26.
반응형